당신은 최악을 극복할 수 있는가
만약, 나에게 찾아온 좋지 않은 일이나 힘든 일에 대하여 나는 얼마나 그것을 극복할 수 있을까? 당신은 이런 상황을 생각해 본 적 있는가. 당장 예를 들어, 1등에 당첨된 복권 용지를 들고 은행에 가는데, 가방을 도둑맞았다거나 하는 최악의 상황을 나는, 당신은 극복해낼 수 있을까?
[엘리자베스 스탠리] 작가 본인이 어린 시절 겪었던 트라우마가 너무나도 컸기 때문에 아마도 이 책을 집필하는 데 있어 큰 어려움을 겪지 않았을 것이라 생각한다. 왜냐하면 그녀는 어린 시절 알코올 중독 가정에서 자랐으며, 지인들과 모르는 사람에게 수차례의 성폭행, 성적 학대, 심지어 스토킹까지 겪었다. 그러나 그녀는 이 모든 것을 극복하고 군인이 되었으며, 얼마 지나지 않아 자신이 어릴 적 겪었던 트라우마를 극복하고, 더 나아가 트라우마를 겪은 사람들을 치유하고 싶은 마음에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본격적으로 트라우마 치료에 나선 [엘리자베스 스탠리] 박사의 이야기를 넣은 [최악을 극복하는 힘]은 트라우마를 매우 잘 알고, 트라우마를 겪은 사람들이 어떻게 해야 하는지 너무 명쾌한 해답을 알고 있는 박사의 이야기이다. 그러나, 워낙 어려운 분야의 도서다 보니까 작가가 전문적인 용어를 최대한 쉽게 풀어쓴다고 노력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약간의 난이도가 있는 책이긴 하다.
하지만 내가 살아왔던 기간들 중, 최악의 순간이 있었다면 그것을 어떻게 극복했었는지, 무기력함과 우울함을 이겨내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었는지 기억을 되짚어보며 책을 읽게 하는 매력이 있었다. 결국 이 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회복탄력성]이라는 것도 나의 마음가짐이 어떻게 되어있냐에 따라 갈리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극복해야만 하는지에 대한 이유까지 고스란히 담겨 있어, 난이도가 있어도 쉽게 읽히는 책이었다.
최악을 극복하려면 스트레스와 트라우마부터 알고 넘어가야 한다
적을 알아야 이길 수 있다고 했다. 그렇기에 나에게 다가온 최악을 극복하려면 당연히 스트레스와 트라우마부터 알고 넘어가야만 한다. 작가는 '누적된 스트레스'와 '트라우마'가 일어난 과거의 경험들과 함께, 이 누적된 스트레스와 트라우마가 자신의 몸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후생 유전', '신경가소성' 등의 과학적 자료를 통해 극복해낼 수 있는 방안을 알려준다. 나아가, 극복하는 과정에 있어 약해진 [회복탄력성]을 얼마나 단단히 만들 수 있는지, 더욱 스트레스와 트라우마에 강해질 수 있는 조언을 나누어 준다.
또한, 사람의 몸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 체제를 가동하고 있는 '교감신경계'를 끄고, 마음의 회복, 신경 치유, 생식, 휴식 등을 준비하고 활성화시킬 수 있는 '부교감 신경계'를 활성화시켜야 한다고 말한다. 여기서 '교감 신경'이란 말 그대로 심장을 강하고 빠르게 수축하게 하는 등의 활성화 신경을 말하며, 이런 신경은 주로 몸이 긴장하거나, 각성되어 있을 때 주로 활성화된다고 한다. 따라서 '부교감 신경계'를 활성화시켜 몸의 긴장을 완화시키기 위한 휴식은 자신에게 맞는 휴식법을 찾아야 한다고 한다. 그렇다고 술, 담배 등으로 부교감 신경계를 활성화시키는 행동은 절대 금물이겠다.
최악을 극복하는 최선의 방법은 자신을 이해하는 것
사람들은 어쨌든 살아가면서 스트레스를 받고, 트라우마를 안고 살아가게 된다. 그러나 그러한 스트레스와 트라우마들 속에서도 잘 살아가면서 빠르게 회복할 수 있는 가장 최선의 방법은 바로 자신을 이해하는 것이다. 누군가는 자기 계발을 통해 마음속에 내재된 상처를 덮는 것이 좋다고 하지만, 개인적인 의견이나 [최악을 극복하는 힘]에서 알려주는 의견이나 자기 이해로부터 모든 상처 치유가 시작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자신을 이해하는 것도 습관이 필요하다고 본다. [최악을 극복하는 힘]의 책에선 전반적으로 당신이 가진 스트레스의 원인을 잘 알고 있다 하더라도, 결국 내 삶에 지속되는 모든 스트레스를 다스릴 수 있도록 꾸준히 자신을 이해할 수 있는 여유와 시간이 필요하다. 꾸준히 지속해야만 스트레스도, 트라우마도 잘 다뤄낼 수 있을 것이다.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 떠보니 선진국 - 하지만 글쎄..? (4) | 2021.08.10 |
---|---|
코로나 시대의 역발상 트랜드 - 성공하고 싶다면 역발상을 주목하라 (6) | 2021.08.09 |
슬기로운 부모생활 - 당신이 변해야만 아이도 변한다 (7) | 2021.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