멘탈이 육체를 지배한다
얼티메이텀(ultimatum)이란 단어의 뜻을 알고 있는가?
국가 간 협상 용어로 쓰이는 이 단어는 '최후통첩'이란 뜻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여기, 나 자신과의 싸움에서 최후통첩을 알리고 승리한 남자가 있다. 이근 대위의 [얼티메이텀]이 오늘 소개할 그 책이다.
"죽어도 포기하지 않는 최강의 기술"이라는 부제목을 갖고 있는 얼티메이텀은 이근 대위의 평소 행실에 너무나도 어울리는 제목을 가졌다고 생각한다. 강렬한 검은빛의 표지에, 그보다 더 강렬한 이근 대위의 카리스마까지. 평소 무사트(Musat)의 대표이사로서 "멘탈이 육체를 지배한다."는 말이 무엇인지 책의 표지에서부터 느껴진다.
힘든 사람에게 건네는 조금 아픈 상처약
"운명이란 자기 자신이 만들어가는 것이다."라는 명언은 이미 고난을 극복한 사람이라면 누가 말해도 와닿는 명언이다. 이를 생존 전문가 출신 이근 대위가 말하니 더 생생하게 느껴진다.
그는 [얼티메이텀]의 초반부부터 독자들에게 강력한 멘트를 남긴다.
"세상은 원래 개판이고 당신의 적들은 당신이 실패하고 우울증에 빠져 자포자기하길 원합니다. 약육강식, 안타깝지만 이것이 바로 현실입니다. 이런 세상에서 당신이 소중하게 생각하는 것들을 지키기 위해선 정신을 바짝 차려야만 합니다. 잠깐이라도 당신이 약한 마음을 먹는 순간, 당신의 생존은 박살날 수도 있습니다."
이근 대위를 잘 알고 있다면 느껴질 것이다. 마치 옆에서 말하는 것 같다. 물론, 누군가는 이 말에 대해 억지가 가득한 말이 아닌가? 하고 반론할 수도 있겠지만, 개인적으론 이근 대위의 말이 맞다고 생각한다.
세상을 오랫동안 살아본 것은 아니지만 내가 바라본 세상은 때때로 지나치게 잔혹하고 무자비했다. 몇 번인가 꿈을 위해 도전했다가 여러 가지 이유로 실패를 맛보고 나니 더 크게 느껴진다. 이뿐만 아니라 각자 실패의 경험을 맛보았더라면 어느 정도 공감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근 대위는 [얼티메이텀]을 통해 지적할 건 지적하되, 그만의 스타일로 격려를 해주려는 모습이 보였다. 어쨌든 살아가다 보니 겪는 힘듦, 괴로움이 있을 텐데 그것을 극복할 수 있는 조금 아픈 상처약 같은 느낌이다.
성공으로 가기 위한 멘탈 관리 방법
누구나 다 인생의 성공을 바란다. 실패하고 싶어 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그래서 다들 치열하게 살아가고 자신의 꿈을 이루기 위해 밤잠까지 설쳐가며 노력한다. 이런 이들에게 이근 대위는 또 한 번 위로를 해줌과 동시에 진심이 담긴 말을 해준다.
"큰 성공을 위해서는 작은 성공이 필수다. 백번의 실패가 모여야 하나의 성공을 만들고, 백번의 작은 성공이 모여야 큰 성공을 만들 수 있다."
이 말을 듣고 난 두 개의 속담이 떠올랐다. '시작이 반이다'라는 말이 있지 않던가. 또한 '천리 길도 한걸음부터'라는 말도 있다. 그 어떤 일이든 한순간에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조금씩 조금씩 노력과 경험들이 모여 완성된다. 하지만 마음이 급하여 조바심이 앞서 자꾸만 이루고자 하는 목표 앞에서 불안과 초조함으로 실패하는 경우가 많기에, 끊임없이 노력해야만 할 것이다.
또한, 나 자신과의 싸움뿐만 아니라, 외부의 압박과 공격에도 흔들리지 않고 묵묵히 자신의 성공을 향해 전진하고 싶은 사람들에게 이근 대위는 [얼티메이텀]이란 책을 통하여 성공으로 가는 데 있어 "멘탈 관리"의 방법을 제시한다.
1. 한계를 무시하라.
2. 완벽을 추구하라.
3. 타인의 말은 참고하기만 하라.
역시 이근 대위의 말을 듣고 있자니 나의 성공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강인한 멘탈. 즉, "마음가짐" 그 자체가 아닐까라는 생각이 든다. 분명 내 뜻대로 되지 않는 것이 목표이고 성공이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포기하지 않으면 반드시 이근 대위가 말하는 성공을 얻을 수 있지 않을까?
긍정적이고 강력한 에너지의 원천
우리는 살면서 숱한 고난과 실패를 겪는다. 그 과정에서 좌절하기도 하고, 억울함을 토로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 모든 것들이 성공을 위하여 겪어야 하는 대가라면 그 또한 감내해야만 할 이야기일 것이다. 그러나 그런 상황에서 안타까운 한숨만 내쉬는 사람과, 다시 도전하겠단 욕구가 불타오르는 사람의 멘탈은 분명 다를 것이다. 그렇다면 도대체 욕구가 불타오르는 사람은 어디서 그런 긍정적인 에너지가 나오는 것일까? 정답은 이근 대위의 [얼티메이텀]에 있었다. 긍정적이고 강력한 에너지의 원천은 강인한 정신이었다.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 - 로버트 기요사키의 부자 이론 (0) | 2021.08.21 |
---|---|
다자이 오사무 - 인간 실격에 대한 이야기 (0) | 2021.08.20 |
언어의 온도 - 말과 글에는 나름의 따뜻함과 차가움이 있다 (2) | 2021.08.19 |